여러분, 백야와 극야 현상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백야와 극야는 소설이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소재입니다. 이렇게 특이한 현상은 작품을 만드는 사람들에게 아주 매력적인 소재이기도 합니다. 백야와 극야가 일반적인 지역에서는 경험해보지 못할 신비로운 현상이기 때문에 탁월한 소재 선택이 되는 것이죠.
백야현상은 많이 들어보셨겠지만 극야 현상에 대해서는 들어보지 못하신 분들도 있을 겁니다. 그렇다면 오늘 백야현상과 극야 현상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백야 현상 (White night)
(1) 의미
백야현상은 해가 지지 않아 하루 종일 밝은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말합니다. 즉, 24시간 태양이 지지 않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해가 지지 않으니 당연히 어두워지지도 않겠죠. 이곳 사람들은 잠을 자기 위해 안대를 쓰거나 커튼을 치기도 하며 일상생활을 평소와 같이 유지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2) 원인
백야현상은 북극과 남극지방에 일어나는데, 그 시기가 다릅니다. 그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 때문이라고 볼 수 있는데요. 이런 현상은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로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입니다. 북극과 남극지방의 여름에는 태양 쪽으로 자전축이 기울어 백야현상이 일어납니다. 지구가 돌면서 태양과 가까운 거리를 유지하기 때문입니다.
2. 극야 현상 (Polar night)
(1) 의미
극야 현상은 백야현상과 정 반대의 현상으로, 태양이 뜨지 않아 24시간 깜깜한 밤을 유지하는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주로 북위와 남위 66.5도 이상인 고위도의 극지방에서 발생하는데요. 북쪽에 위치한 노르웨이의 어느 지역의 경우, 겨울에는 며칠 동안 태양을 볼 수 없습니다. 따라서 이곳에 사는 사람들은 에너지를 잃고 축 처지기도 합니다. 백야현상을 경험한 사람들과는 반대로 이곳 사람들은 조명이나 기구를 이용해 항상 집 안을 밝게 유지하도록 노력합니다. 또한 이들은 태양빛을 보지 못해 채우지 못한 비타민을 공급해줄 음식을 구해 먹기도 합니다.
(2) 원인
극야 현상이 일어나는 원인도 백야현상이 발생하는 원인과 같습니다. 태양의 반대쪽으로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져있어 태양빛을 받지 못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지역들은 위도가 높아 겨울에 햇빛이 비치는 곳이 없습니다.
두 현상은 북반구와 남반구에 번갈아가며 발생하는데, 그 이유는 두 지역이 서로 대척점에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볼 수 없는 현상이지만, 가끔 백야현상과 극야 현상이 일어난다면 어떻게 될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하루 종일 낮이나 밤을 경험하게 된다면 무엇을 해야 할지도 참 고민이 됩니다. 여러분은 두 현상 중 하나의 현상이 일어나는 나라에 꼭 가야 한다면 어느 나라에 가고 싶으신가요?
'잡학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미의 원인과 멀미 안 하는 법 (0) | 2022.11.24 |
---|---|
곰팡이도 쓸모가 있다? 최초의 항생제인 페니실린의 발견 (0) | 2022.11.23 |
수술복이 초록색인 이유는 뭘까? (0) | 2022.11.21 |
가위에 눌렸을 때 어떻게 하지? 가위눌리는 이유와 대처법 (0) | 2022.11.20 |
사진만 찍으면 눈이 빨갛게 나온다? 적목현상 이유와 해결 방법 (0) | 2022.11.19 |
댓글